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윈스(136540) 주가 배당금 투자전망

by 유용한 정보마당 2025. 3. 16.
반응형

윈스-아콘소프트, PaaS 솔루션 사업 확장 '맞손'

  • 윈스(136540)는 아콘소프트와 서비스형 플랫폼(PaaS) 기반 보안 솔루션 및 클라우드 보안성 고도화를 위해 업무협약(MOU)를 체결
  • 본 협약을 통해 양사는 보안성이 강화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를 시장에 선보일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

출처 :이데일리(2월 27일)

 

 

 

윈스 기업개요

 

  • 윈스 는 1996년 4월 설립되어 주식회사 나우콤과 2007년 합병하였고, 2011년 1월 주식회사 나우콤으로부터 네트워크 보안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였음.
  • 동사는 정보보안시장 내 보안 시스템 개발 및 공급을 주로 하는 네트워크보안분야와 정보보안,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IPS, Anti_DDos, FW 및 차세대 FW 중심의 네트워크보안 국내 1위업체임.
  • 국내 최초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형 플랫폼인 ‘칵테일 클라우드’를 개발한 클라우드 전문기업
  • 2022년부터 클라우드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클라우드 보안, 클라우드MSP 등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음

 

 

윈스 주가 및 배당금


윈스 주가 현황

윈스의 현재 주가는 11,000원으로, 최근 52주 최고가인 15,750 원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하락폭을 보이고 있으며, 52주 최저가인 10,320원에 근접해 있다. 

  • 현재가 : 11,000원 (2025/03/14 종가)
  • 52주 최고가 : 15,750 원
  • 52주 최저가 : 10,320원
  • 시가총액 : 1,351억원 (코스닥 570위)
  • 상장주식수 : 12,279,746

윈스 1년 주가 차트

 


윈스 배당금 지급기록 및 전망

2025년 2월 27일 윈스은 2024년 결산 배당 결정을 공시하였다.

1주당 배당금은 800원으로 현재 주가 11,000원 기준 시가배당율은 7.3%이며, 배당기준일은 2024년 12월 31일이다.

 

또한, 최근 5년 동안의 배당금 지급 기록을 살펴보면, 2019년 350원, 2020년 400원, 2021년 500원, 2022년 500원, 2023년 5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하였다.

윈스 배당금 추이 및 전망

 

 

윈스 24년 실적 및 25년 전망


윈스 2024년 실적

윈스의 202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5.1% 감소한 1,015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7% 감소한 204억 원을 기록하였다.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SIEM) 기술을 접목한 Sniper BD1 AI Plus 제품을 기반으로 클라우드관제서비스에 대한 차별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임
  • 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공개매수를 진행하였으며 공개매수를 통해 취득한 자기주식는 모두 소각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윈스 연간 실적 전망

 

 

 

윈스 실적성장성 및 재무안정성


윈스 연간 실적추이

윈스의 연간 매출 실적은 2019년 821억 원에서 2024년 1,015억 원으로 5개년 연평균 성장률(CAGR) 4.3%를 기록하였다.

윈스 연간 매출액 추이

 


윈스 재무안정성

윈스의 최근 5개년 부채비율은 모두 44% 이하로 매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윈스 부채비율 추이

 

 

윈스 가치투자 분석


윈스 EPS 추이 및 전망

윈스의 연간 EPS는 2019년 1,207원에서 2024년 1,609원으로 5개년 연평균 성장률(CAGR) 5.9%를 기록하였다.

윈스 EPS 추이

 


윈스 PER 추이 및 전망

윈스의 24년 말 PER은 6.8배로 최근 3개년 평균 PER 9.8배, 업종평균 PER 172.1배보다 낮다.

윈스 PER 추이

 


윈스 주가수익성장비율(PEG)

2024년 12월 기준 예상 PER 6.8배와 24년 EPS 성장률 5.8를 적용하여 주가수익성장비율(PEG)을 계산해 보면, 윈스의 PEG는 1.2로 현재 주가는 EPS 성장률 대비 고평가 상태이다.

 

※ 주가수익성장비율(PEG)

PEG(Price Earning to Growth Ratio)는 저평가 우량주를 찾는 지표의 하나로 피터 린치(Peter Lynch)가 자신의 저서 '월가의 영웅들'에서 소개하며 국내에도 알려졌다.

 

PEG는 주가수익비율(PER)을 기업의 EPS 증가율로 나눈 값이다. 성장성이 높은 종목은 현재 수익 규모보다 주가가 높아 PER 값이 큰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성장률로 나눠 다시 평가해 기업의 PER 등 밸류에이션과 성장성을 모두 판단할 수 있게 돕는다. 

  • PEG = 1 : 주식이 적정하게 평가되었다고 여겨짐.
  • PEG < 1 : 주식이 저평가된 것으로 여겨짐. 기업의 이익 성장률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 발생.
  • PEG > 1 : 주식이 고평가되었을 수 있음. 기업의 이익 성장률에 비해 주가가 높을 때 발생.

 


윈스 적정주가 및 예상수익률

목표 PER을 최근 3년 평균 PER인 9.8배를 적용하여 적정주가를 계산해 보면, 윈스의 적정 주가는 15,822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43.8%의 상승여력이 있다.

윈스 적정주가 및 예상수익률

 

※  개인적인 의견으로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투자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상으로 윈스에 대한 기업분석이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