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mmary
ʼ25.2월 산업활동동향 주요지표는 광공업 생산 및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증가
ʼ25.3월 고용은 취업자 수 증가폭 확대, 물가는 상승폭 확대
ʼ25.3월 중 금융시장은 주가 하락, 국고채 금리 하락, 환율 상승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압력 증가
부문별 동향
1. 고용
- ʼ25.3월 중 취업자는 2,858.9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9.3만명 증가하였으며, 고용률(15세 이상)은 62.5%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 ʼ25.3월 중 실업자는 91.8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6만명 증가하였으며, 실업률은 3.1%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 ʼ25.3월 중 비경제활동인구(1,620만명)는 전년동월대비 4.0만명 감소하였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64.6%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2. 물 가
- ʼ25.3월 물가는 농축수산물 · 석유류 상승세 둔화에도 가공식품 · 공공서비스 가격 인상 영향 등으로 전년동월비 2.1% 상승 (2월 2.0 → 3월 2.1%)
- 추세적 물가흐름을 보여주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근원물가 지수)는 전년동월비 1.9% 상승 (2월 1.8 → 3월 1.9%)
- 생활물가지수*는 식품외 가격 상승세 둔화로 전년동월비 2.4%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신선과실 하락폭 확대로 전년동월비 △1.3% 하락
- 3월 국제유가는 OPEC+의 증산 결정,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수요 둔화 가능성, 러-우 휴전 협상 체결(3.18일) 등으로 전월대비 하락
- 3월 국제곡물 가격은 양호한 글로벌 공급 전망으로 전월대비 하락, 비철금속 가격은 수급 불균형(수요 > 공급) 우려로 인해 전반적으로 전월대비 상승
3. 재 정
- ʼ25.2월 관리재정수지는 17.9조원 적자(전년동기대비 적자 18.4조원 감소), 통합재정수지는 13.7조원 적자(전년동기대비 적자 16.2조원 감소)
- ʼ25.2월까지 예산현액(총지출) 677.1조원 중 116.7조원 집행(집행률 17.2%)
4. 해외경제
- 미국경제는 고용이 양호한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나, 소비심리가 큰 폭 하락한 가운데 美 상호관세 도입에 따른 리스크 요인 상존
- 중국경제는 美-中 무역 갈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도시고정 자산투자는 상승폭이 확대(3.2→4.1%)되었으나 수출은 감소(6.0→△3.0%)로 전환
- 일본경제는 2월 일반기계, 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폭 확대(7.3→11.4%), 소매판매는 상승폭 축소(1.2→0.5%)
- 유로존은 3월 종합 구매관리자지수가(PMI) 소폭 상승하였으나, 미국 상호 관세 부과 등으로 인한 리스크 요인 상존
5. 민간소비
- ʼ24.4/4분기 민간소비(GDP 잠정치)는 전기대비 0.2% 증가(전년동기비 1.2% 증가)
- ʼ25.2월 소매판매는 비내구재(△2.5%) 및 준내구재(△1.7%)에서 판매가 감소했으나, 내구재(13.2%)에서 판매가 증가하며 전월대비 1.5% 증가(전년동월비 △2.3% 감소)
- ʼ25.3월 소매판매의 경우, 할인점 카드승인액 및 방한 중국인 관광객수 증가 등은 긍정적 요인, 백화점 카드승인액 감소 및 소비자심리지수 하락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6. 설비투자
- ʼ24.4/4분기 설비투자(GDP 잠정치)는 전기대비 1.2% 증가(전년동기비 4.3% 증가)
- ʼ25.2월 설비투자지수는 기계류(23.3%), 운송장비(7.4%) 모두 증가하며 전월대비 18.7% 증가(전년동월비 7.7% 증가)
- 2월 국내기계수주 감소는 향후 설비투자에 부정적 요인이나, 설비투자 조정 압력 증가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7. 건설투자
- ʼ24.4/4분기 건설투자(GDP 잠정치)는 전기대비 △4.5% 감소(전년동기비 △6.5% 감소)
- ʼ25.2월 건설기성(불변)은 건축공사(△2.2%)가 감소했으나, 토목공사(13.1%)가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1.5% 증가(전년동월비 △21.0% 감소)
- 건축허가면적(△20.3%) 감소 등은 향후 건설투자에 부정적 요인이나, 1월 대비 증가한 건설수주(전월비 57.5%) 등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8. 수출입 (통관기준, 잠정)
- ʼ25.3월 수출은 IT 수출 호조로 2개월 연속 플러스(+3.1%), 증가폭도 확대
- ʼ25.3월 수입은 전년동월비 2.3% 증가한 533.0억달러
- ʼ25.3월 무역수지는 수출 증가에 힘입어 2개월 연속 흑자(+50억불), 흑자폭 확대
9. 국제수지
- ʼ25.2월 경상수지는 72억불 흑자(22개월 연속)
- ʼ25.2월 금융계정(잠정)은 49.6억달러 순자산 증가
- ʼ25.3월 경상수지는 무역수지 확대, 출국자 감소 등에 따라 플러스 흐름 지속 전망
10. 광공업 생산
- ʼ25.2월 광공업 생산은 광업에서 줄었으나, 제조업 · 전기가스업에서 늘어 전월대비 1.0% 증가(전년동월비 7.0% 증가)
- ʼ25.2월 제조업 출하는 전월대비 1.3% 증가, 재고는 전월대비 △1.2% 감소, 제조업 재고/출하비율(재고율)은 전월대비 △2.9%p 하락(107.8%)
- ʼ25.2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1%로 전월대비 △0.4%p 하락
11. 서비스업 생산
- ʼ25.2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대비 0.5% 증가(전년동월비 0.8% 증가)
- ʼ25.3월 서비스업은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 개선, 고속도로 통행량 증가는 긍정적 요인으로, 일평균 주식거래대금 및 번호이동자수 감소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12. 전산업생산 및 경기종합지수
- ʼ25.2월 전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6% 증가(전년동월대비 1.2% 증가)
- ʼ25.2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1p 상승
- ʼ25.2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1p 상승
13. 금융 ․ 외환 시장
- 주식 시장 : ʼ25.3월 주가는 미국의 상호관세 관련 경계감 등으로 위험회피 심리 강화되며 하락
- 외환 시장 : ʼ25.3월말 원/달러 환율은1,472.5원으로 ʼ25.2월말 1463.4원 대비 상승(약세)
- 채권 시장 : ʼ25.3월 국고채 금리는 미국의 상호관세 관련 경계감 등 영향으로 하락
기획재정부
발간물
www.moef.go.kr
반응형
'트랜드 &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스마트폰 주요 트렌드 (1) | 2025.03.30 |
---|---|
감정 감지 및 인식 기술(Emotion Detection and Recognition, EDR) 개념 및 주요기업 (0) | 2025.03.19 |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주요 기업 및 시장 투자 전망 (1) | 2025.02.23 |
탄소 섬유 발열체 기업 및 시장 동향 향후 전망 (0) | 2025.02.23 |
2025년 로봇 산업 전망, 휴머노이드 관심 재점화 (0) | 2025.01.07 |
플렉시블 전지의 경쟁 현황과 미래 전망 (0) | 2024.08.21 |
중국 일대일로의 의의와 한계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