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삼양식품(003230) 주가 배당금 투자전망

by 유용한 정보마당 2025. 4. 1.
반응형
1Q25 실적,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해외 실적 성장 및 점유율 상승세 지속
세계가 밀양 2공장 준공을 기다린다
(출처 : IBK투자증권)

 

 

삼양식품 주가 및 배당금


삼양식품 주가 현황

삼양식품의 최근 52주내 최고가는 958,000원, 최저가는 210,000원을 기록하였으며, 

현재 주가는 2025년 3월 31일 종가 기준 858,000원으로 마감되었다.

  • 현재가 : 858,000원 (2025/3/31 종가)
  • 52주 최고가 : 958,000원
  • 52주 최저가 : 210,000원
  • 시가총액 : 6조 4,784억원 (코스피 58위)
  • 상장주식수 : 7,533,015

삼양식품 1년 주가 차트

 


삼양식품 배당금 지급기록 및 전망

삼양식품의 최근 배당 공시를 살펴보면, 2025년 2월에 공시한 결산배당이다.
1주당 배당금은 1,800원으로 현재 주가 858,000원 기준 시가배당율은 0.2%이며, 배당락일은 2024년 12월 27일, 배당기준일은 2025년 2월 28일, 배당금 지급일은 2025년 4월 22일이다.

삼양식품 현금·현물 배당 결정 공시(2025/2/11)

 

또한, 삼양식품의 과거 10년 동안의 배당금 지급기록을 살펴보면, 
2014년 100원에서 2024년 3300원으로 연평균 41.9%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014년 41억원에서 2024년 2713억원으로 연평균 52.2% 증가하였다. 

 

삼양식품 10년 배당금 지급실적 및 당기순이익

 

 

 

삼양식품 24년 실적 및 25년 전망


삼양식품 2024년 실적

삼양식품의 202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44.9% 증가한 17,280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3.6% 증가한 3,446억 원을 기록하였다.

삼양식품 2024년 실적

 


삼양식품 2025년 실적 전망 (IBK투자증권, 2025/3/31)

1Q25 실적,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 기존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108만원을 유지
  • 1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4,845억원(+25.6% yoy), 981억원(+22.5% yoy)으로 전망
  • 우호적인 환율 흐름과 수출 데이터를 반영해 기존 추정치(4,754억원 / 951억원) 대비 매출과 영업 이익을 2~3% 소폭 상향 조정했으며 컨센서스(4,867억원 / 1,008억원)에 대체로 부합하겠다.
  • 원맥 공급 단가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계약한 것으로 보이며, 전분 등 주요 투입 원가 상승 부담도 제한적이다.
  • 다만 위탁용역비(현지 물류 창고 및 용 역)와 수출제비 및 운반비 등 수출 관련 비용 증가로 인해 매출원가율이 58.3%(+0.7%p yoy)로 상승할 전망

 

해외 실적 성장 및 점유율 상승세 지속

  • 면·스낵 수출이 3,821억원(+33.6% yoy)으로 예상된다.
  •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 은 1,454원(+9.2% yoy)으로 상승했다. 또 라면 수출 총액(관세청 기준)이 1월과 2월 각각 25.4%(yoy), 30.4%(yoy) 늘었고, 3월에도 증가세가 이어졌다.
  • 특히 춘절 시점 차로 인해 1~2월 누계 중국 라면 수출이 5,024만 달러(+117.6% yoy)로 대폭 증가했고, 같은 기간 미국 라면 수출액은 3,892만 달러(+22.7%)로 늘었다.
  • 작년 10월 미국 월마트에서 인스턴트 누들 매대로 이동한 이후, 올해 2월 기준 일본 도요수산(브랜드: 마루찬)에 이어 라면 카테고리 매출 2위로 올라선 것으로 파악된다.
  • 네덜란드에서도 라면 전체 판매액 1위(2023~2025.02 기준)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가 밀양 2공장 준공을 기다린다

  • 현재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는 현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 이에 6월 준공 예정인 밀양 2공장의 초기 가동률이 예상보다 빠르게 오를 가능 성이 높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

 

 

삼양식품 최근 10년간 실적 분석


삼양식품 연간 매출추이

삼양식품의 2024년 매출액은 17,280억원으로 전년 대비 44.9% 증가하였다.

최근 10년간 매출액은 2015년 3,146억원에서 2024년 17,280억원으로 연평균 18.6%씩 증가하였다.

삼양식품 최근 10년 매출액 추이

 


삼양식품 영업이익 추이

삼양식품의 2024년 영업이익은 3,446억원으로 전년 대비 133.6% 증가하였다.

최근 10년간 영업이익은 2015년 97억원에서 2024년 3,446억원으로 연평균 42.9%씩 증가하였다.

삼양식품최근 10년 영업이익 추이

 

삼양식품 재무안정성

삼양식품의 최근 5개년 부채비율은 모두 103% 이하로 매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삼양식품 최근 5개년 부채비율

 

 

삼양식품 가치투자 분석


삼양식품 EPS 추이 및 전망

삼양식품의 연간 EPS는 2020년 8,922원에서 2024년 36,106원으로 4개년 연평균 성장률(CAGR) 41.8%를 기록하였다.

또한, 2024년말 기준 EPS는 전년 대비 115.4% 증가한 36,106원을 기록하였다.

삼양식품 EPS 추이

 


삼양식품 PER 추이 및 전망

삼양식품의 24년 말 PER은 21.2배로 최근 3개년 평균 PER 15.4배, 업종평균 PER 13.8배, 24년 EPS 성장률 115.4 보다 낮다.

  • 최근 3년 평균 : 15.4배
  • 최근 3년 최저 : 12배
  • 최근 5년 평균 : 14배
  • 최근 5년 최저 : 11.3배
  • 2024년 EPS 성장률 : 115.4%
  • 업종평균 : 13.8배

삼양식품 PER 추이

 


삼양식품 주가수익성장비율(PEG)

2024년 12월 기준 PER 21.2배와 24년 EPS 성장률 115.4를 적용하여 주가수익성장비율(PEG)을 계산해 보면, 삼양식품의 PEG는 0.2로 현재 주가는 EPS 성장률 대비 저평가 상태이다.

※ 주가수익성장비율(PEG)

PEG(Price Earning to Growth Ratio)는 저평가 우량주를 찾는 지표의 하나로 피터 린치(Peter Lynch)가 자신의 저서 '월가의 영웅들'에서 소개하며 국내에도 알려졌다.

 

PEG는 주가수익비율(PER)을 기업의 EPS 증가율로 나눈 값이다. 성장성이 높은 종목은 현재 수익 규모보다 주가가 높아 PER 값이 큰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성장률로 나눠 다시 평가해 기업의 PER 등 밸류에이션과 성장성을 모두 판단할 수 있게 돕는다. 

  • PEG = 1 : 주식이 적정하게 평가되었다고 여겨짐.
  • PEG < 1 : 주식이 저평가된 것으로 여겨짐. 기업의 이익 성장률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 발생.
  • PEG > 1 : 주식이 고평가되었을 수 있음. 기업의 이익 성장률에 비해 주가가 높을 때 발생.

 


삼양식품 적정주가 및 예상수익률

목표 PER을 최근 3년 평균 PER인 15.4배를 적용하여 적정주가를 계산해 보면, 삼양식품의 적정 주가는 554,468원으로 현재 주가 보다 35.4% 낮다.

삼양식품 적정주가 및 예상수익률

 

※  개인적인 의견으로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투자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삼양식품 증권사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

 

삼양식품에 대한 증권사들의 최근 3개월 목표주가 평균은 1,056,500원으로 직전 목표주가 대비 15.5% 증가하였으며, 현재 주가 858,000원 대비 예상수익률은 23.1%이다.

삼양식품 증권사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

 

이상으로 삼양식품에 대한 기업분석이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