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mmary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인기가 많은 드론은 현재 전쟁에서 무기화와 국가 주요 시설에 대한 테러 행위에도 사용되면서 비인가 드론에 대한 탐지, 식별, 무력화를 수행하는 안티드론 솔루션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안티드론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12억2,290만 달러에서 연평균 27.5 %로 급성장해 2028년 52억4,480만 달러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티드론 솔루션은 적외선, RF, 레이더 센서 등으로 드론을 탐지하는 기술과 전파 방해와 제어권 해킹 등의 무력화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탐지 분야의 시장은 2022년 3억610만 달러에서 2028년 10억5,130만 달러까지 연평균 약 22.8 %로 확대될 것이며, 탐지를 포함한 무력화 기술 시장은 2022년 9억1,680만 달러에서 연평균 28.8 %로 성장해 2028년 41억9,350만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안티드론 시장 개요
- 드론의 활용과 수요 증가: 드론은 교통, 모니터링, 항공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국내 신규 기체 신고 건수 급증을 통해 수요의 빠른 성장세를 알 수 있습니다.
- 불법 드론 사용의 증가: 테러, 전쟁에서의 살상 무기 활용뿐만 아니라 민간에서의 불법 사용(공항 운항 차질, 사생활 침해 등)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위협이 커지고 있습니다.
- 안티드론 기술의 대두: 비인가 드론 탐지, 식별, 무력화를 위한 안티드론 시스템이 이러한 위협에 대한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주요 시설 및 공항에 도입되고 있습니다. 안티드론은 C-UAS, 카운터드론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립니다.
- 안티드론 대응의 어려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한 군집 드론 활용, 작고 빠른 저고도 비행, 탐지 어려운 소재 사용 등으로 인해 불법 드론에 대한 대응이 까다롭습니다.
- 안티드론 기술은 크게 드론을 탐지하는 기술(적외선, RF, 음향 등)과 무력화하는 기술(소프트 킬 - 재밍, 스푸핑 / 하드 킬 - 물리적 포획, 격추 등)로 나뉩니다.
- 향후 전망: 드론 활용성 증대와 글로벌 정세 변화에 따라 안티드론 시장은 성장성이 높게 예상되며, AI 기술 등을 중심으로 탐지 및 무력화 분야의 신기술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티드론 관련 정책 및 규제 현황
안티드론 관련 주요 쟁점: 안티드론 시스템을 어디에 구축할지(주요 대상), 어떻게 운용할지(방어 시나리오), 그리고 시스템 운영 중 발생하는 부수적인 피해에 대한 법적 책임(사후 2차 피해 형사적 면책권)이 중요한 논의 사항입니다.
대한민국 현황
- 법적 근거: 전파법과 공항시설법을 통해 안티드론 시스템의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선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전파법은 공공 안전 위협 시 전파 방해 기술 사용을 허가하고 형사적 면책 및 손실 보상 내용을 포함하며, 공항시설법은 공항 접근 초경량 비행 장치에 대한 안전 조치(퇴치, 포획)를 허용합니다.
- 투자 및 연구: 북한 무인기 침공 대응을 위해 국방부는 중기 계획에 안티드론 솔루션 전력화를 포함시켰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저고도 드론 탐지 기술(LADD)을, 국가보안기술연구소(KIST)는 독일과 EMP 분야 국제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 현황
- 미국: 'The Preventing Emerging Threats Act' 제정으로 국토안보부(DHS), 법무부(DOJ)에 불법 드론 대응 권한을 부여했고, 바이든 정부의 안티드론 국가 행동 계획 발표 및 후속 법안('Safeguarding the Homeland...')을 통해 주요 시설, 권한, 절차, 사생활 보호, 훈련 및 인증 등이 논의되었습니다. 국방부(DOD)의 관련 예산 투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유럽: 유럽항공안전청(EASA) 주도로 드론 정보를 수집하여 규격을 분류하고, 안티드론 기술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습니다.
- 중국: 2017년부터 무인기 사용자 실명 등록제를 시행하여 사용자 책임과 규제를 명확히 했습니다.
시장 규모 및 전망
세계 시장 규모 및 성장: 안티드론 세계 시장은 2022년 12억 2,290만 달러에서 연평균 27.5% 성장하여 2028년에는 52억 4,4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1. 기술별 시장 전망
- 탐지 기술: 안티드론 솔루션에서 중요도가 높은 탐지 기술 시장은 2022년 3억 610만 달러에서 연평균 약 22.8% 성장하여 2028년 10억 5,13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레이더, 라이다, 광학 센서 등 다양한 센서와 이를 융합하고 AI 기술을 접목한 소프트웨어가 주요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무력화 기술: 탐지 시스템과 통합되어 운영되는 무력화 기술 시장은 2022년 전체 시장의 약 75%를 차지했으며, 9억 1,680만 달러에서 연평균 약 28.8%로 급성장하여 2028년 41억 9,35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2. 지역별 시장 전망
- 북미: 2022년 세계 시장의 약 44%(5억 4,260만 달러)를 점유했으며, 2028년에도 23억 3,110만 달러 규모로 가장 큰 시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아시아태평양: 2022년 2억 6,440만 달러에서 연평균 30.2%로 급성장하여 2028년에는 12억 8,790만 달러, 약 2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국내 시장: 2022년 2,440만 달러에서 연평균 약 27.7% 성장하여 2028년 1억 58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예측되나,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8~9%, 세계 시장의 약 2%로 낮은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기업 및 기술 요약
1. 북미 지역 (미국)
- 레이시온(Raytheon): 고성능 레이더, EO/IR 센서 기반 솔루션 제공. 불법 드론 탐지, 추적, 무력화 능력 보유. 코요테(Coyote) 무인 항공 시스템에 탐지 및 무력화 기능을 결합하여 군에 납품.
-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 MORFIUS(Mobile Radio Frequency-Integrated Unmanned Aircraft System Suppressor) 출시. 튜브에서 발사되는 고정익 무인기에 고출력 마이크로파 기술을 탑재하여 드론 무력화.
- 포르템테크놀로지스(Fortem Technologies): AI 기반 레이더 시스템과 자율 비행 드론(Drone Hunter)을 활용한 포획 기술.
2. 유럽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 레오나르도(Leonardo S.P.A, 이탈리아): 다중 센서와 전자 공격 기능을 융합한 팔콘 쉴드(Falcon Shield) 시스템. 영국 히스로/개트윅 공항 및 캐나다군에 도입.
- 탈레스(Thales, 프랑스): 이동 설치 가능한 지상 감시 레이더(SQUIRE) 및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 가능한 안티드론 솔루션(RAPIDFire) 제공.
- IAI(이스라엘): 드론 가드(DroneGuard) 제품으로 레이더와 전자전 기술 활용.
- DJI(중국): 드론 탐지 시스템 에어로스코우프(AeroScope) 보유. 통신 링크 식별 및 비행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 드론 쉴드(DroneShield, 호주): 소형 휴대용 전파 방해 장치(Drone Gun) 개발.
3. 국내 기업
- LIG넥스원: 방위사업청 지원으로 한국형 재머 개발 참여. 탐지부터 무력화까지 국내 기술로 개발된 대드론통합체계 선보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포르템테크놀로지스에 투자하여 기술 강화 및 UAM 사업 연계 모색. 계열사 한화시스템의 열상감지장비와 포르템 기술 통합 계획.
- 현대위아: 레이더와 AI 기반의 소프트 킬/하드 킬 기능 안티드론 시스템 개발. 소형 원격사격무기체계 공개.
- 두타기술: 재밍 건 와일드캣(WILDCAT), 울프(WOLF) 제공.
- 니어스랩: 시속 250km의 하드 킬형 안티드론(직충돌 방식) 개발.
출처 : ASTI MARKET INSIGHT 2024-304
반응형
'트랜드 &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햅틱(Haptic) 기술 시장전망 및 주요 기업 (1) | 2025.05.04 |
---|---|
글자를 소리로 바꾸는 마법, TTS 기술의 모든 것! (시장 전망부터 활용 사례까지) (1) | 2025.05.03 |
부문별 최근 경제 동향(2025년 4월) (2) | 2025.04.14 |
2025년 스마트폰 주요 트렌드 (1) | 2025.03.30 |
감정 감지 및 인식 기술(Emotion Detection and Recognition, EDR) 개념 및 주요기업 (0) | 2025.03.19 |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주요 기업 및 시장 투자 전망 (1) | 2025.02.23 |
탄소 섬유 발열체 기업 및 시장 동향 향후 전망 (0) | 2025.02.23 |
2025년 로봇 산업 전망, 휴머노이드 관심 재점화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