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SK하이닉스 주가 배당금, 적정주가와 목표주가는?

by 유용한 정보마당 2024. 9. 27.
반응형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으로, 최근 기술력 격차를 통해 삼성전자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초로 HBM3E 12단 양산을 시작하며 주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K하이닉스의 현재 주가, 배당금, 그리고 가치투자 관점에서의 적정주가와 증권사별 목표주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SK하이닉스 기업 개요

 

1. SK하이닉스 사업 개요

SK하이닉스는 경기도 이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4개의 생산기지와 3개의 연구개발 법인을 운영하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다. 해외에는 미국, 중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등에서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두고 있다.

 

주력 제품은 DRAM 및 NAND를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 반도체이며, 일부 생산시설(S1, M10 일부)을 활용해 시스템 반도체인 CMOS 이미지 센서(CIS)와 파운드리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는 휘발성과 비휘발성으로 구분되며, SK하이닉스는 휘발성 메모리인 DRAM과 비휘발성 메모리인 NAND Flash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생산시설은 국내와 중국에 위치한다. 국내에는 DRAM을 생산하는 M16, M14, M10(이천)과 NAND를 생산하는 M11, M12, M15(청주) 및 M14(이천)가 있다. 특히 M16은 2021년 2월에 준공된 최신 시설이다. 중국에는 DRAM을 생산하는 C2, C2F(장쑤성 우시)와 파운드리를 운영하는 S1이 있으며, NAND를 생산하는 다롄(Dalian) Fab도 포함된다.

 

 

 

SK하이닉스 주가 및 배당금


1. SK하이닉스 주가 현황

기업개요기업개요...

  • 현재가 : 180,900원 (기준일 : 2024년 09월 26일)
  • 52주 최고 : 248,500원
  • 52주 최저 : 113,000원

SK하이닉스 1년 주가 차트

 

2. SK하이닉스 배당 기록 및 예상 배당금

SK하이닉스는 2022년부터 분기 배당으로 전환하여 매년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2024년 3분기 배당금 지급 기준일은 9월 30일이며, 배당금은 300원으로 결정되었다. 2024년 연간 예상 배당금은 1,241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배당 수익률은 0.69%로 낮은 수준이다.

 

▶ 주주명부폐쇄기간 또는 기준일 설정

 

SK하이닉스 최근 10년간 배당 지급 기록 (출처 : investing.com)

 

 

SK하이닉스 실적 성장성 및 재무 안정성


1. SK하이닉스 2024년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실적

SK하이닉스의 2024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2.8% 증가하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다.

2분기에는 인공지능(AI) 시장의 확대로 HBM 수요가 급증하고, 고성능·고용량 NAND 수요도 크게 증가하여 1분기 호실적을 지속하였다. HBM 및 eSSD 등 AI 메모리의 강세와 함께 D램과 NAND 제품 전반에서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다.

 

또한, 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판매 증가와 환율 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HBM3를 독점 공급한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메모리 업체 중 최초로 HBM3E 8단 제품을 납품하기 시작하였다.

 

 

2.  SK하이닉스 연간 실적 추이

SK하이닉스의 연간 매출 실적은 2019년 269,907억원에서 시작하여 2023년에는 327,657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2021년에는 429,978억 원에 달하며 정점을 찍었으나, 2022년에는 소폭 증가한 446,216억 원을 기록했다. 이후 2023년에는 매출이 감소하여 전년 대비 27%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2024년에는 매출이 669,598억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이전 5년간의 평균 성장률을 고려할 때 상당한 회복세로 평가된다. 특히, AI 및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확대로 인해 HBM 및 NAND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 연간 매출액 추이

 

3.  SK하이닉스 재무 안정성

SK하이닉스의 최근 5개년 부채비율은 모두 100% 이하로 유지되고 있어, 전반적인 재무 안정성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매년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점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요소이다.

SK하이닉스 최근 5개년 부채비율은 모두 100% 미만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 판단 기준
- 부채 비율 200% 이하

- 최근 3개년 부채비율 추이가 유지되거나 낮아지는지?

 

 

 

 SK하이닉스 적정주가 및 예상수익률

 

SK하이닉스의 2024년 12월 기준 예상 PER은 7.3배로, 최근 연간('23년 제외) 최저인 2021년의 9.9배보다 낮고, 평균 21.7배와 비교할 때도 상당히 낮은 수치이다. 현재 주가가 저평가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목표 PER을 최근 5개년 평균 PER인 21.7배, 5개년 최저인 9.9배, 업종 평균 PER 17.3배를 각각 적용하여 적정주가를 계산해 보면, SK하이닉스의 적정 주가는 현재 주가 180,900원 대비 각각 174%, 25%, 118%의 상승여력이 있다. 

 

결론적으로 SK하이닉스의 현재주가는 가치 투자 관점에서는 현재 저평가 상태로 볼 수 있다. 

SK하이닉스 적정주가 및 예상수익률

※  개인적인 의견으로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투자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SK하이닉스 증권사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

 

증권사가 설정한 목표주가는 200,000원에서 340,000원 사이로 다양하다. 증권사별 적정주가 평균은 257,880원으로 직전 적정주가대비 4.5% 하향 조정되었다. 기업의 실적 개선이나 시장 환경의 변화에 대한 우려감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 증권사별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

 

 

▶기술격차 커진 하이닉스-삼전, 주가도 벌어진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HBM3E 12단 양산에 들어가며 삼성전자와의 기술력 격차를 더욱 확대하였다. 이로 인해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최근 약세를 딛고 9.44% 상승하며,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률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HBM 시장에서의 우위를 바탕으로 향후 영업이익 차이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마이크론 연말 실적 전망도 쾌청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 급등

미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이 시장 기대를 초과하는 분기 실적과 긍정적인 전망을 발표하면서, 26일 뉴욕증시에서 주가가 약 17% 급등했다. 마이크론의 실적 개선은 인공지능(AI) 붐으로 인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증가에 기인하며, SK하이닉스도 마이크론 효과로 9.44% 상승한 18만 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와 함께 KRX 반도체지수도 5.6% 상승하며, 삼성전자와 한미반도체도 각각 4.02%, 7.13% 상승세를 보였다.

 

이상으로 SK하이닉스의 적정주가와 증권사별 목표 주가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